한 주간 스프린트 순서
- 각 조직별로 해야 할 ToDo List (
백로그
)들을 작성한다.
- 반드시 해야 할 모든 것을 빠짐없이 적을 필요는 없음
- 현 시점에서 파악된 디테일에 대한 태스크 정도만 명시하면 됨
- 작성한 백로그들의
우선순위
를 정한다.
- 백로그에 명시된 태스크를 하나씩 살펴보며 소요시간을 산정한다.
각각의 태스크는 4 ~ 16 시간 정도의 사이즈가 좋다? ⇒얼마로 정해야 할까? 4시간 이하? 8시간 이하?
- 추정치이기 때문에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
-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을 위주로
스프린트 기간
동안 개발 가능한 피쳐들을 고른다.
스프린트
: 백로그 중 일부를 수행하는 기간
- 스프린트에 수행할 백로그만 기간 내에 처리한다.
- 정해진 태스크 외의(우선순위가 낮은) 태스크는 다음 스크럼 기간으로 과감하게 미룬다. (
연기의 미학
)
- 개발자는 현재 스크럼 기간에 할당된 일에만 집중한다.
스프린트에서 기억할 점
- 스프린트 기간에 명시된 태스크만 수행해 나간다!
- 아키텍쳐나 프로토콜 설계를 첫 스프린트 기간 내에 반드시 완성할 필요는 없다.
- 백로그에 맞는 아키텍쳐만 그리면 충분하다
- 나머지는 다음 스프린트에서 해라
스크럼에서 해야할 것
- 매일 아침 진행한다.
- 웬만하면 15분 이내 간결한 회의를 한다.
- 스크럼에서 진행할 질문 딱 3가지
- 어제 한 일은 무엇인가?
- 오늘 할 일은 무엇인가?
- 일을 수행함에 있어 장애는 무엇인가?
- 일일 스크럼이 끝나면, 스크럼에서 나온 다양한 이슈들로
토론
이 벌어질 수 있지만, 모든 팀원이 참석할 필요는 없다. 관심있는 사람만 참여한다.